NXT 챔피언십

덤프버전 : r (♥ 0)




파일:NXT_Championship--7d8ea4d925fe43df5a8f0df6f0ba7e3d.png
현재 타이틀 명칭NXT 챔피언십
현재 챔피언일리야 드라구노프
챔피언 등극일2023년 9월 30일
NXT 노 머시 2023
이전 챔피언카멜로 헤이즈
단체WWE
소속 브랜드WWE NXT
벨트 창설일2012년 7월 1일
【 기록 펼치기 · 접기 】
초대 챔피언세스 롤린스
최다 획득 챔피언사모아 조3회
최장기간 챔피언애덤 콜403일
최단기간 챔피언캐리언 크로스4일
최고령 챔피언사모아 조42세
최연소 챔피언보 댈러스23세
최중량급 챔피언키스 리154kg
최경량급 챔피언핀 밸러86kg
1. 개요
2. 벨트 디자인 변천사
3. 역대 챔피언 목록
4. 초대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 대진표



1. 개요[편집]


WWE에 존재하는 챔피언십으로 신인육성 브랜드에서 기존의 FCW와 통합되면서 제휴단체로 변신한 NXT 브랜드를 대표하는 메인급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이다.[1] 2012년 8월 초대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가 진행되어 8월 29일 결승전에서 세스 롤린스진더 마할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초대 챔피언이 된다.

2. 벨트 디자인 변천사[편집]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WWE_NXT_Championship.png
2012년 8월 29일 초대 NXT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부터 2017년 NXT 테이크오버: 올랜도까지 사용한 디자인

파일:external/www.wwe.com/NXT_Championship--a8fc950e591a05c48cb4609050778a4d.png
2017년 NXT 테이크오버: 올랜도부터 2022년 4월 4일 RAW까지 사용한 디자인



3.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브랜드 색상은 처음 획득한 시점에서 소속된 브랜드 기준.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세스 롤린스1회2012년 8월 29일 (133일)WWE NXT[2]
2빅 E 랭스턴1회2013년 1월 9일 (155일)WWE NXT
3보 댈러스1회2013년 6월 12일 (260일)WWE NXT
4에이드리언 네빌1회2014년 2월 27일 (287일)NXT 어라이벌
5새미 제인1회2014년 12월 11일 (62일)NXT 테이크오버: R EVOLUTION[3]
6케빈 오웬스1회2015년 2월 11일 (143일)NXT 테이크오버: 라이벌[4]
7핀 밸러1회2015년 7월 4일 (292일)WWE 더 비스트 인 더 이스트
8사모아 조1회2016년 4월 21일 (121일)라이브 이벤트
9나카무라 신스케1회2016년 8월 20일 (91일)NXT 테이크오버: 브루클린 II[5]
10사모아 조2회2016년 11월 19일 (14일)NXT 테이크오버: 토론토
11나카무라 신스케2회2016년 12월 3일 (56일)NXT 일본 오사카 투어[6]
12바비 루드1회2017년 1월 28일 (203일)NXT 테이크오버: 샌안토니오
13드류 맥킨타이어1회2017년 8월 19일 (91일)NXT 테이크오버: 브루클린 III
14안드라데 알마스1회2017년 11월 18일 (140일)NXT 테이크오버: 워게임스
15알레이스터 블랙1회2018년 4월 7일 (109일)NXT 테이크오버: 뉴올리언스
16토마소 치암파1회2018년 7월 25일 (238일)WWE NXT[7]
-공석-2019년 3월 20일WWE NXT[8]
17쟈니 가르가노1회2019년 4월 5일 (57일)NXT 테이크오버: 뉴욕[9]
18애덤 콜1회2019년 6월 1일 (403일)NXT 테이크오버: XXV[10]
19키스 리1회2020년 7월 8일 (45일)WWE NXT : WWE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2020)[11]
20캐리언 크로스1회2020년 8월 22일 (4일)NXT 테이크오버: XXX
-공석-2020년 8월 26일WWE NXT[12]
21핀 밸러2회2020년 9월 8일 (212일)WWE NXT
22캐리언 크로스2회2021년 4월 8일 (136일)NXT 테이크오버: 스탠드 & 딜리버 NIGHT 2
23사모아 조3회2021년 8월 22일 (21일)NXT 테이크오버: 36
-공석-2021년 9월 12일WWE 공식 홈페이지[13]
24토마소 치암파2회2021년 9월 14일 (112일)WWE NXT 2.0[14]
25브론 브레이커1회2022년 1월 4일 (63일)WWE NXT 2.0 : 뉴 이어스 이블(2022)
26돌프 지글러1회2022년 3월 8일 (27일)WWE NXT 2.0 : WWE 로드블록(2022)
27브론 브레이커2회2022년 4월 4일 (362일)WWE RAW
28카멜로 헤이즈1회2023년 4월 1일 (182일)NXT 스탠드 & 딜리버 2023
29일리야 드라구노프1회2023년 9월 30일 (263일)NXT 노 머시 2023[15]


4. 초대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 대진표[편집]


파일:nxttourney.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2:24:56에 나무위키 NXT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ECW 챔피언십처럼 브랜드를 대표하는 메인 타이틀이기 때문에 남성부 로얄럼블 매치의 우승자도 레슬매니아에서 NXT 챔피언십에 도전을 할 수 있다.[2] 초대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골드 러시 토너먼트에서 진더 마할을 꺾고 우승.[3] 새미 제인이 자신의 커리어를 걸고 NXT 챔피언십에 도전하였다.[4] 새미 제인을 상대로 KO승[5] NXT 최초의 남성 동양인 챔피언[6] 12월 3일 경기를 가져 챔피언에 등극했지만, 경기 영상은 12월 7일 NXT 방영분에서 공개되었다.[7] 테이크오버 체제가 시작된 이래 처음으로 NXT TV쇼에서 NXT 챔피언이 바뀌었다.[8] 치암파의 목부상으로 인한 타이틀 반납 및 공석 처리[9] NXT 챔피언 등극과 함께 최초의 NXT 트리플 크라운 달성[10] 챔피언 등극으로 애덤 콜이 두번째로 트리플 크라운 달성[11] 챔피언 등극으로 키스 리가 두번째로 더블 타이틀 홀더가 되었다.[12] 테이크오버 XXX에서 캐리언 크로스키스 리에게 미들로프 둠스데이 사이토를 날리는 과정에 오른쪽 어깨 부상을 당해 8월 26일에 챔피언 벨트를 반납하게 되어 NXT 단장 윌리엄 리갈에 의해 9월 1일 NXT에서 핀 밸러, 쟈니 가르가노, 토마소 치암파, 애덤 콜의 페이탈 4 웨이 60분 아이언맨 매치로 새로운 챔피언이 정해지지만, 핀 밸러와 애덤 콜이 2점을 기록해 동률이 되면서 9월 8일 NXT에서 핀 밸러와 애덤 콜의 싱글 매치로 챔피언을 가리게 된다.[13] 사모아 조의 부상으로 인한 타이틀 반납 및 공석 처리. 9월 14일에 벌어질 넘버원 컨텐더 매치를 NXT 챔피언십 매치로 벌이면서 토마소 치암파, 카일 오라일리, 피트 던, LA 나이트의 페이탈 4 웨이 매치로 챔피언을 가리게 된다.[14] 카일 오라일리피트 던 & 릿지 홀랜드의 습격으로 참가 할 수 없게 되면서 토마소 치암파 VS 피트 던 VS LA 나이트 VS 본 와그너의 페이탈 4 웨이 매치로 벌였다.[15] 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 획득 기록도 가지고있는 최초의 남성 선수다.